- 조 바이든 대통령,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 가능성 제기... 장기전 태세
- 원자재 수급난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휘귀 광물류 수급 차질 등 국내기업의 부담 가중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에 10만 명의 병력을 배치해 군사적 긴장감이 돌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 가능성에 대해 매우 높다고 말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군인(사진 = PIXABAY)
우크라이나 군인(사진 = PIXABAY)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배치한 군대를 철수 중이라고 밝혔으나, 바이든은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는 어떤 군대도 철수시키지 않았다”며, “우리가 가진 모든 징후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 들어가서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해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7일 뉴욕증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면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22.24포인트 하락한 34,312.03으로 장을 마쳤다.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일어나 미사일 포격에 위험회피 심리가 커졌고, 양측은 상대측이 선제공격이 나섰다고 공방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를 경계하는 미국의 발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갈등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과 EU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시 고강도 제재를 예고하면서 이번 사태는 장기전으로 가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될 경우, 교역 차질 불가피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되면 우리 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우리나라는 에너지 원자재, 반도체용 희귀광물 등을 양국으로 수입하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제조 원가 상승, 수급 차질 등에 직면할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가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러-우 사태가 전면전 등으로 악화될 경우, 우리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014년 당시 우리나라의 러시아 수출규모는 101억 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 전년 대비 53.7% 급감하면서 47억 달러를 기록한 때와 비슷한 양상이 생길 수 있다는 예측이다.

현재 러시아는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10위 교역대상국으로 우리 수출의 약 1.6%, 수입의 2.8% 비중을 차지한다. 그런데 러-우 사태 악화시 우리 수출입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는 화장품(444개사), 기타 플라스틱(239개사), 자동차부품(201개사) 등을 중심으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전망이다.

또한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오리온 등 한국기업 40여 개사가 러시아에 진출해 있어 부품조달의 어려움, 수익성 악화, 내수시장 침체로 인한 매출액 감소, 물류난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

우크라이나 국기(사진 = PIXABAY)
우크라이나 국기(사진 = PIXABAY)

반면 한-우크라이나 교역 규모는 연간 약 9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며, 교역대상국 68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수입 측면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수입 중인 일부 희귀 광물류에 대해 거래선 다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온·크립톤·크세톤 등이 대표적으로, 수입의존도가 23%, 30.7%, 17.8%로 다소 높아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수입단가 상승으로 국내 제조 기업들의 수입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

러-우 사태에 적극적으로 대응중인 수출기업은 절반 정도...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제조기업 수입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도 눈여겨봐야 한다. 천연가스, 원유 등 국제 에너지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우리기업의 제조원가 상승가, 에너지 수급난, 국내기업의 현지공장 부품조달 애로와, 대금 결제회수 지연, 무역 보증 제한, 우회 결제에 따른 비용 증가, 현지 법인 매출 감소, 환차손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권 수출입 기업 8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의 22.7%는 거래위축, 21%는 루블화 환리스크, 20.2%는 물류난을 가장 우려했으며, 30.5%가 공급선 다변화, 17.1%가 무역보험 강화, 6.1%가 결제대금 선물환 체결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응답 기업 중 23.2%가 특별한 대응 없이 사태를 관망 중이라고 밝혔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25.4%가 무역보험 지원, 21.3%가 신속한 정보제공, 17.2%가 거래선 다변화 지원을 꼽았다.

한편, 무역협회는 21일 오후 4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