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11년전인 2009년 4월 당시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이베이(eBay)는 한국G마켓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베이는 2001년에 이미 국내 최대 온라인쇼핑 사이트였던 옥션을 인수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베이가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장악하는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한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이재현 이베이 아시아태평양 총괄대표는 당시 인수 간담회에서 “전세계 39개국에 진출된 이베이 플랫폼을 기본으로 국내 중소영세상인들의 해외 수출에 지원한다"고 이야기했었다.

그리고, 2020년 4월 언론기사를 통해서 중국 알리바바 그룹의 이베이코리아 인수설이 보도되었다. 10여년이 지나는 동안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에는 쿠팡, 11번가 같은 거대 이커머스 기업이 경쟁자로 성장했고, 네이버의 시장 점유율은 결제액만 놓고보면 가장 규모가 크나 과거 이베이가 G마켓을 인수할 당시에 비해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는 영향력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베이의 G마켓 인수와 알리바바의 이베이코리아 인수는 현재의 시장 점유율이 아닌 미래의 시장에 끼칠 영향을 가지고 보면 그 파장이 훨씬 크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앞서, 이야기한대로 이베이가 G마켓을 인수할때, 수출을 지원한다고 했지만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이베이의 G마켓 인수로 한국 중소상인들의 해외 수출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는 평가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이베이닷컴이 개인간 거래를 바탕으로 하는 (C2C) 마켓플레이스 이기 때문이다. 마켓플레이스는 그 본질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로 인해서 국가간 거래에 제한이 존재한다. 

국가간 거래에서 구매가격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배송비와 관련해서 이베이가 어떤 직접적인 운영에 개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모두 셀러 개개인이 해결해야 했다. 그런데, 개인 사업자들은 국제 배송비용을 낮출 수 있는 물량이 없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IT투자를 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베이를 통해 해외로 판매하는 한국 셀러의 절대다수는 우체국을 통한 우편 배송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이베이를 통한 해외 판매라는 이야기는 특정 몇개 국가가 아닌 이베이 닷컴에 상품을 등록해서 전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한국에서 전세계로 판매하는 모델은 다양한 언어와, 배송 방법, 그리고 상품군의 차이 등으로 단기간에 큰 성과를 내기가 쉽지 않다.

반면, 알리바바가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하는 경우는 한국이라는 로컬 시장에서 이천만이 넘는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중국이라는 단일 국가에서 상품 공급 측면이 늘어나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그 파괴력이 다를 수밖에 없다. 신규 마켓플레이스 어려운 이유가 셀러와 바이어를 동시에 가지고 시작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알리바바와 이베이코리아의 결합은 이 두가지가 갖춰진 상태기 때문에 준비기간이라는 것도 필요없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반응이 올 것이라고 생각된다. 

Bessky나 Ronderful 같은 이름을 들어본 한국인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회사들은 중국에서 전세계로 전자상거래를 통해 수출하는데 그 매출액이 연간 수조원이 넘는다. Bessky 같은 기업은 아마존에 보유한 스토어숫자가 4만개에 달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셀러들이 G마켓과 옥션을 통해서 한국시장에 진출한다고 할때 한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들이 중국기업인지 아닌지 조차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그간, 이 회사들에게 한국 시장은 그 규모는 크지만, 미국과 유럽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었다. 하지만, 중국에서 미국과 유럽으로의 판매가 점점 규제가 많아지면서 한국과 일본 시장이 대안이 될 필요가 있었고, 이미 중국에서 일본으로의 직접 판매는 라쿠텐 글로벌까지 가세하면서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중국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정부로서는 중국 사업자들이 한국을 판매와 물류거점으로 진출하는 것을 적극 환영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과 소상공인들은 물론 대형 유통기업도 중국셀러들과의 경쟁에서 사라진다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긍정적 효과와는 비교가 되지 않게 클 것이다. 게다가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중국 셀러들이 미국, 유럽에 판매할 경우와 비교해서 한국 시장으로는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가구나 대형 가전 등의 상품까지도 판매가 가능하다.

유럽은, 중국발 전자상거래 공습을 통해 대형 유통체인을 포함해서 자국의 소매기업들이 초토화 된 이후에야 심각성을 깨닫고 VAT제도를 정비하고, 규제를 늘려서 그 확산을 막고 있다. 개인 구매에 대한 면세한도를 악용해서 중국사업자들이 관세와 부가세를 납부하지 않고 판매를 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수입후 판매하는 기업들과는 경쟁이 될 수가 없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 유럽연합이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정부도 유럽의 사례를 참고해서 비거주 사업자의 한국내 플랫폼을 통한 직접 판매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을 해주기 바란다.

칼람니스트 - 박상신 (현)엠엑스엔 홀딩스 부사장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