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주요 금융기관, 올해 인도 경제 회복 전망
- 정부 의지도 강해… 제조업 분야 강화 목표

(사진 = 픽사베이)
(사진 = 픽사베이)

코로나19로 지난해 인도 경제가 타격을 입었지만, 국제 주요 금융기관들은 올해 인도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거대한 인구를 보유하고 있고, 모디 정부가 자주인도를 주창하며 자국 내 제조 및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을 확대하고 있어서다.

▶ 코로나19로 타격 입은 인도 경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해 3월 인도 전역에 봉쇄조치가 내려지면서 인도의 모든 경제활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그 결과 4~6월 분기 GDP는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23.9%를 기록했다.

해당 발표 이후 각 금융기관은 2020/21 회계연도 기준 인도 경제성장률을 10% 수준으로 하향 전망했으며, 인도 정부도 9.5%의 낮은 전망치를 발표했다.

하지만 봉쇄조치 완화 이후 생산활동이 정상화되고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기회복 조짐이 보이고 있다. 7~9월 분기 GDP는 7.5%를 기록했으며, 분기 성장률 발표 이후 각 금융기관은 기존 대비 개선된 2020/21 회계연도 GDP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무디스는 10.6%, 피치는 9.4%, S&P 7.7%로 수정 발표했으며, 인도 중앙은행은 7.5%를 제시한 가운데 가장 최근인 2021년 1월 8일 인도중앙통계청(NSO)는 7.7%로 추정했다. 인도 금융기업 Motilal Oswal은 이러한 긍정적 변화가 지속되며, 2020년 10~12월 성장률은 1~2%, 2021년 1~3월에는 플러스 성장률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인도 소비자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소비자들은 기존 사용제품 대비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으로 바뀌었다.

온라인을 통한 소비도 증가했다. 봉쇄조치가 시행된 3월 말부터 식자재를 비롯한 비필수 물품까지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기존 대비 크게 증가하며, 봉쇄 이전 총 주문량 대비 3~5% 수준이었던 식자재 배달은 4~6월에 15~20%까지 증가했다. 핀테크업체 Razorpay에 따르면, 4~9월 전자상거래 주문은 전년 동기 대비 71.3%까지 증가했다.

(자료 = Bseindia Nseindia 홈페이지 / 주: 1월 5일 환율 US$ 1 = ₹ 73.11 적용, 주요기관의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자료 = Bseindia Nseindia 홈페이지 / 주: 1월 5일 환율 US$ 1 = ₹ 73.11 적용, 주요기관의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 한-인도 교역 규모에도 영향 미쳐

코로나19는 한-인도 교역 규모에도 영향을 줬다. 2017년 이후 한-인도 교역 규모는 꾸준히 200억 달러를 넘어섰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인도 경기 침체로 수출입이 감소하면서 2020년 대인도 수출, 수입액은 각각 119억6,000만 달러, 48억9,900만 달러 수준을 기록했다. 수입액이 소폭 하락한 반면(12.0%)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해(20.8%) 전체적인 무역수지(70억6,000만 달러, 30.0%)와 교역액(168억6,000만 달러, 18.4%)은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게 됐다.

건설업과 제조업 경기가 침체되며, 기존 대인도 수출품 중 2위를 기록했던 철강은 3위로 밀려났다. 수출 규모는 41.6% 감소한 12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건설 프로젝트 재개와 관련 산업 회복 등으로 12월 철강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6% 증가했으나 완전한 회복은 2021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진단키트 등 개인보호용품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1~11월 마스크 수출은 전년대비 294.1% 증가했으며 진단키트 등 면역관련제품 수출은 3094.9%까지 대폭 증가했다.

▶ 모디 정부, 경제 발전 의지 강해

향후 인도의 경제 전망은 밝다. 2020년 3월 4차에 걸친 전역봉쇄를 시행한 인도 정부는 이와 함께 20조 루피(한화 약 300조원) 예산을 급히 투입, 경기지원을 확대했으며 세계은행(World bank)와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인도에 긴급 자금 지원 및 대출을 통해 약 25억 달러의 자금을 수혈하기도 했다.

이후 인도 정부는 단계적으로 봉쇄조치를 완화하고 2020년 10월까지 5차례에 걸친 해제(Unlock 5.0)조치를 취하며 단계적으로 충격을 완화해나갔다.

모디 정부의 경제 발전 의지도 강하다. 5월 모디총리는 Make in India의 2.0버전인 자주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을 통해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 중국의 생산기지를 인도로 대체하고 경제위기를 자력으로 극복하는 인도로 거듭나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이 될 것을 주창했다. McKinsey은 이러한 인도의 제조업 GVC 강화로 인도 제조업의 GDP 기여율이 향후 수년 내 현재 대비 2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고 있으나 인도는 거대한 소비자 규모와 기술요인 등으로 공급망 재편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관련 규모는 약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긍정적 분석이다.

또한, 정부는 자주인도정책 일환으로 인도를 제조 허브로 만들기 위해 생산연계인센티브를 발표했다. 이는 5년간 현지 생산 제품 수출금액의 4~6%를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형태다. 4월 전자기기 분야에 5년간 5,000억 루피(한화 약 7조5,000억원)의 PLI를 발표했으며 삼성전자, Foxconn, Bhagwati 등 16개사에 대해 승인이 이뤄졌다. 특히 FDI 유치를 위해 중국으로부터 생산시설을 이전하려는 기업에 대해 PLI를 제공하고 있다.

추가로 정부는 일부 제조업 분야에 대해 5년간 2조 루피(한화 약 30조 원) 규모의 PLI를 승인했다. 혜택 수혜 대상으로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의약품, 특수강, 자본재, 기술재, 백색 가전제품(AC, LED 등), 통신 및 네트워킹 제품, 섬유, 고효율 태양광 PV 모듈 및 배터리 셀 등 총 10개 분야가 해당되며 자국 생산량 증가 및 투자 유치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중국에 대한 규제도 강화했다. 인도 정부는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인도와 국경을 접한 국가가 인도에 투자할 경우 인도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을 도입할 것이라고 4월 발표했다. 이는 국경접경국 중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시기에 중국 기업의 무분별한 인도 기업 인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이후 6월에 발생한 인도-중국 국경 무력 충돌 이후 반중 정서가 심화되며 정부는 투자 및 프로젝트 입찰 제한, 수입규제 시행, 중국산 앱 사용금지 등 다양한 대중국 규제를 시행했다. 또한 인도 국영기업 및 정부 발주 프로젝트의 경우 중국 기업은 입찰 시 정부 승인이 필요하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했다.

제조업 중심의 경제 회복 및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는 인도 정부의 예산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 역시 경제회복에 집중하는 정부 정책을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