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기 (사)외국인직접투자연구센터 정책분석실장 / 경제학 박사<br>
민경기 (사)외국인직접투자연구센터 정책분석실장 / 경제학 박사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 계열의 ‘FDI Markets’이 2020년 글로벌 기업들의 R&D 실적을 분석 발표했다. FDI Markets은 회계 연도의 불일치, R&D 관련 회계·정보공시 관행의 상이, 환율 등으로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상황 속 글로벌 기업들의 R&D 동향을 통해, R&D를 주도하고 있는 산업과 국가·지역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해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Big Tech 기업 TOP 5 독점

2020년 글로벌 R&D 투자기업 TOP 5는 모두 Big Tech 기업이 차지했다. 아마존은 전년 대비 18.9% 증가한 427.4억 달러 규모의 R&D 투자를 단행하며, 2020년 전 세계에서 R&D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아마존은 이렇듯 막대한 R&D 투자를 통해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및 물류 분야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아마존의 회계 보고서 중 ‘테크놀로지&콘텐츠(technology and content)’라는 모호한 표현의 ‘R&D’ 항목(422억 달러 규모)이 R&D 비용을 과대평가하게 한다는 이견도 일부 존재한다.

아마존의 뒤를 이어 알파벳(구글) 275.6억 달러, 화웨이 217.2억 달러, 애플 194.6억 달러, 삼성전자 194.4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MS) 192.3억 달러 순으로 R&D 투자에 집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연례보고서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디바이스, 운영체계(OS)를 포괄하는 기술, 도구, 플랫폼 등 폭넓은 R&D 분야에 대한 장기적 투자가 불가피함을 강조한 바 있다.

페이스북은 2020년 미국의 Big Tech 기업 중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35.6%)을 기록하며, 184.5억 달러의 R&D 투자 비용을 지출했다. 페이스북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자연어 처리 등의 R&D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렇듯 Big Tech 기업들은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지배력 유지를 위한 R&D 투자를 강화했다.

▶ 동아시아 통신·반도체 기업의 R&D 투자 확대

2020년 중국의 통신 대기업 화웨이는 전년 대비 7.8% 증가한 217.2억 달러를 R&D에 투자했다. 화웨이는 FDI Markets 자체 데이터 기준으로 2015년~ 2020년간 R&D 분야 크로스보더(Cross-Boarder) 그린필드 프로젝트를 가장 많이 발표(76개)한 최대 투자기업이기도 하다. 중국기업 중 화웨이 다음으로 2020년 R&D 투자를 많이 한 기업은 알리바바로 79억 달러(18위)을 투자했다.

[`15~`20년 R&D 분야 그린필드 프로젝트 투자기업 순위]

(자료 =  FDI Intelligence, Global innovation leaders in 2020)
(자료 = FDI Intelligence, Global innovation leaders in 2020)

삼성전자는 2019년 183.3억 달러 대비 6.0% 증가한 194.4억 달러를 2020년 R&D에 투자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 12개국의 14개 해외 R&D 센터 및 7개의 글로벌 AI 센터와 협력해 AI, 빅데이터, 로봇공학, 보안 등의 R&D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업들이 더욱 발전되고 에너지 효율적인 반도체 개발을 위해 삼성과 협력하고 있는 모양새다.

한편, 반도체 공급 위기와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요구 증가로 반도체 기업들은 R&D 및 생산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를 발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전 세계 CPU 1위 기업 인텔은 2020년 R&D에 135.6억 달러를, 세계 3위 규모의 반도체 제조기업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92.7억 달러, 무선통신·네트워크 분야 전문기업 퀄컴(Qualcomm) 62.2억 달러, 광대역 통신용 집적 회로를 제조·판매하는 미국의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Broadcom) 49.9억 달러, GPU 1위 기업에서 CPU 시장진출을 선언한 엔비디아(NVIDIA)는 R&D에 39억 달러를 투자했다.

▶ 헬스케어 분야 약진... 다수의 기업이 투자 확대 

통신·반도체 분야 이외에 또 다른 주목할만한 R&D 투자가 생명과학(life sciences), 특히 제약(pharmaceuticals) 및 생명공학(biotechnology) 분야에서 발생했다. 이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기타 질병 퇴치를 위한 의약품 개발 관련 R&D 증가로 판단된다.

미국의 제약기업 머크(Merck&Co) 135.6억 달러, 스위스의 제약기업 호프만 로슈(Roche Holdings) 135.3억 달러, 미국의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 121.5억 달러, 미국의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yers Squibb) 111.4억 달러, 미국의 화이자(Pfizer) 94.1억 달러 순으로 R&D 투자가 발생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2020년 헬스케어 분야에서 전년 대비 R&D 투자를 획기적인 비율로 증가시킨 기업이 다수 포착됐다는 점이다. 미국의 바이오 제약기업 인사이트(Incyte)는 2020년에 연 매출(annual revenue) 26.7억 달러의 83%를 R&D에 지출하였는데, 이는 전년 대비 R&D 투자를 무려 92% 증가시킨 수준이었다. 또 다른 제약기업인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81.3%)와 바이오젠(75.0%)도 2020년에 전년 대비 R&D 투자를 대폭 증가시킨 사례이다.

[2020년 R&D 투자 100대 기업의 업종별 투자 규모 및 전년 대비 증감률]

(자료 = FDI Intelligence, Global innovation leaders in 2020)
(자료 = FDI Intelligence, Global innovation leaders in 2020)

한편, 영국의 제약·바이오 산업 분야 분석 기업인 이밸류에이트 파마(Evaluate Pharma)는 2019년~2026년간 글로벌 제약기업의 R&D 투자가 연평균 3.2% 성장하여 2,33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 디지털 전환 관련 투자 지속

디지털화 등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제품 리더십 주도를 위한 투자가 자동차 분야에서도 지속됐다. 자동차 산업의 전기화·디지털화 대응을 위해 주요 자동차 제조기업도 2020년 R&D 투자를 유지했다. 지난 2020년 독일의 폭스바겐(Volkswagen) 169.6억 달러, 독일의 다임러(Daimler) 74.7억 달러, 미국의 포드(Ford) 71억 달러, 독일의 BMW 69.5억 달러,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62억 달러 순으로 투자가 발생했다. 일본의 Honda는 2020년 67억 달러를 R&D에 지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20년 R&D 상위 100대 기업에 포함된 자동차 제조기업 가운데 미국의 테슬라(Tesla, 2020년 R&D 투자 14.9억 달러)와 프랑스의 발레오(Valeo, 2020년 R&D 투자 20.7억 달러)를 제외한 다른 기업은 전년 대비 R&D 지출이 감소한 수준이었다.

제품 리더십 주도를 위한 R&D 투자는 통신 및 디지털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지속되었다. 네트워킹 하드웨어, 보안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는 62.5억 달러를, PC부터 서버·스토리지·네트워킹 제품군의 강자 델 테크롤로지스(Dell Technologies)는 52억 달러를 2020년 R&D분야에 각각 투자했다. 핀란드의 통신 대기업 노키아(Nokia)도 2020년 R&D에 49.9억 달러를 지출했으나, 2019년의 55.4억 달러 대비 9.9% 감소한 수준이었다.

흔히, 코로나19로 인해 기업의 R&D 투자와 혁신이 멈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전 세계 선도기업들은 팬데믹 상황에도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R&D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파괴적 혁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시기, 기업이 자신을 차별화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방법은 R&D를 강화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