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제조업, 정부 지원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시동
중국, 일본, 독일의 스마트팩토리 시장 특히 두각
국내 스마트팩토리 기업, 블루오션 해외시장 선점해야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K글로벌타임스] 4차 산업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제조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제품 개발에서부터 주문, 생산, 검사, 재고관리, 유통·판매 등 제조분야의 모든 영역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하고 자동화 및 디지털 정보화하는 지능형 생산 공장 스마트팩토리가 그와 함께 급부상했다.

글로벌 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산업은 2019년 1537억 달러 규모에서 2024년 244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9.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GDP에서 제조업 비중이 30%가 넘는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다. 국내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가 연평균 11.4%씩 성장해 2024년 약 152억8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가별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 및 성장률[사진: KDI경제정보센터]
국가별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 및 성장률[사진: KDI경제정보센터]

 

◇ 중국, 제조업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강세

중국의 스마트팩토리 산업부터 살펴보면, 연평균 12.16%의 가파른 성장률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제조 공장의 스마트화가 이루어질 국가로 평가받는다. 2024년 중국의 스마트 제조 시장은 469.7억 달러 규모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업을 ‘대이불강(크지만 강하지 않은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여기에 대한 문제점을 높은 대외 의존도와 공업에 대한 혁신 부족을 꼽았다. 이에 ‘제조업 대국’에서 ‘제조업 강국’으로 발전하고자 ‘중국제조 2025’ 전략을 추진했다.

중국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중국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중국 정보는 제조업 디지털 혁신을 위해 스마트 제조, 공업기반 강화, 녹색제조 등을 5대 중점 프로젝트로 꾸준히 제시했으며, 제조업혁신센터 구축 등 정부의 정책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21년 4월 발표한 ‘스마트제조 발전 14차 5개년’ 계획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디지털 전환을 통한 스마트 제조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자. 골자는 다음과 같다. 2025년까지 일정 규모 이상의 제조기업 및 핵심 산업 기업들의 기초적 디지털 전환 실현(1기), 2035년 일정 규모 이상의 제조기업 및 중추 기업들의 완전한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2기)이다.

이처럼 중국 정부가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강수를 두고 있는 현재, 해외 기업들의 중국시장 진출이 활발하다. 그중에서도 독일 제조기업의 행보가 두드러진다. 중국 정부는 2014년 ‘독·중 협력행동강요: 공동혁신’을 발판 삼아 주도적으로 독일의 우수 제조기업들을 유치했다. 적극저긍로 독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도입한 것이다. 이에 화웨이와 보강산철이 각각 훼스토와 지멘스의 합작 연구기관 또는 회사를 설립했다.

 

◇ 일본은 낡은 설비 대체, 독일은 그린 스마트팩토리 

일본의 스마트팩토리 산업은 연평균 10.18% 성장해 2024년 263.4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급격한 발전의 원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으로 추측된다. 일본은 장기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2010년 ‘신성장전략’을 수립했으며, 이어 ‘일본재흥전략’을 마련했다. 일본재흥전략의 핵심은 기업의 첨단설비 투자를 촉진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등 기업 관련 여건을 개선하는 게 골자다. 또한 제조 관련 과학기술 혁신을 지원한다.

일본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일본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일본의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블루오션이다. 제조 역사가 긴 만큼 현재 일본의 제조기업은 66만3000개사가 있으며, 2025년에는 이들의 전체 설비 중 절반 이상이 사용기간을 50년 넘긴다. 이는 설비의 노후화가 심각하다는 의미다. 일본 정부가 스마트팩토리 지원에 문턱을 낮춘 만큼 Tel-mic Co., Ltd, THK주식회사 등이 스마트팩토리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의 스마트팩토리 현황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 시장도 주목하자. 독일 제조업은 세계적인 기술력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원가 절감을 앞세운 신흥국의 매서운 추격에 위기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여기에 생산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를 겪으면서 제조업 혁신 정책을 추진했다.

독일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독일 스마트팩토리 정책 타임라인[출처: KDI경제정보센터] (디자인: K글로벌타임스)

독일 제조업의 핵심 전략인 ‘인터스트리 4.0’을 알아보면, 제조업에 IT 시스템을 결합해 생산시설을 네트워크화하고 지능형 생산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팩토리로 전환하려는 게 목적이다. 인더스트리 4.0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이다. CPS는 실제로 상품을 제조하는 물리적 세계와 서비스 중심의 사이버 세계를 소프트웨어, 센서 등을 활용해 통합하고 제어함으로써 제조 전 과정을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소기업의 참여가 부진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일 연방 경제에너지부(BMWi)는 인더스트리 4.0의 중소기업 도입 잠재력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고, 이를 토대로 독일 정부가 2015년 ‘미텔슈탄트(중소기업) 4.0’ 정책을 수립해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두되었다. 독일은 ‘중소기업 디지털화 투자 지원사업(Digital Jetzt)’ 및 ‘인더스트리 5.0; 등의 전략을 수립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제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인더스트리 5.0은 인더스트리 4.0에 사회적 가치를 더한 개념으로, CPS 기반 중심의 발전과 사회적·생태학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한다.

 

◇ 국내 스마트팩토리 기업, 한시 빨리 해외진출 해야

스마트팩토리의 글로벌화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는 스마트팩토리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범 사례를 구축하고자 한다. 2018년 문재인 전대통령은 인도와 싱가포르를 만문해 4차 산업을 ‘신남방정책’의 새로운 협력 분야로 포함하겠다고 밝히며, 아세안 국가들과의 스마트제조 상햅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코트라의 지원도 빼놓을 수 없다. 코트라는 작년 6월 국내 스마트팩토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1 한·캐나다 스마트팩토리 파트너링 설명회와 상담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으며, 동해 10월 한국산업지능화협회와 함께 국내 스마트팩토리 기업의 일본시장 진출과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한·일 스마트팩토리 파트너링’ 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당시 일본 글로벌 제조기업 60여 개사가 국내 스마트팩토리 기술 등에 관심을 보이며 행사는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스마트팩토리 설비예지보전 솔루션 전문기업 퓨처메인의 경우,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해외시장에 진출했다. 퓨처메인은 올해 하반기까지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대중소 동반진출지원 사업’에서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빅데이터와 AI를 적용한 설비관리 플랫폼 해외 시장발굴 및 수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최근 두바이 최대 IT 박람회 ‘GITEX 2022’에 참가해 기술력을 선보이는 등 그 행보가 진취적이다.

퓨처메인 윤병동 대표는 “설비진단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그간 쌓은 데이터를 통해 AR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제조 선진국을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해외진출의 각오를 다졌다.

전 세계 각국이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만큼 해외진출의 문도 열렸다. 국내는 제조업 비중이 높으며 적극적인 스마트팩토리 투자로 경쟁력이 뛰어나다. 기술력이란 강점에 집중하고, 해외진출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한다면 우리나라 스마트팩토리 기업의 해외진출 앞날은 밝다.

[K글로벌타임스 강초희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