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억명의 내수시장을 가진 인도, 향후 세계 3위의 경제규모 전망
제조업 위주의 경제 성장 견인...스마트팩토리가 답 될 수도
단독보단 협업으로 진출해야

적을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속담이 있다. 해외진출을 하기 위해서는 현지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필요하다. 또한 스타트업이 전개하고 있는 비즈니스가 해외 현지시장에서 가능성을 품고 있는지도 알아봐야 한다. 너무 빠른 시기에 진출하는 것은 아닌지, 혹은 너무 늦게 진출하는 것은 아닌지와 같은 시기 문제도 중요하다. 

'글로벌 진출 전략' 기획기사를 통해 K글로벌타임스는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에 필요한 현지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미국, 인도, 일본, 유럽(EU), 중국, 그리고 중남미에 대해 살펴본다.

 

<글로벌 진출전략> 시리즈

[디자인=K글로벌타임스]
[디자인=K글로벌타임스]

[K글로벌타임스] 인도는 2021년 기준 13.9억 명의 인구를 가진 거대 시장이다. 2021~2022년 회계연도 인도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0% 내외로 예측되며, 코로나19로 얼어붙었던 소비 심리도 점차 녹아내리고 있다. 우리나라와 인도는 2010년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ssociation)를 체결하면서 서로 간 무역도 자유로운 편이다. 특히 일본, 유럽, 중국보다 앞서 체결해 인도라는 거대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당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물론 실제 양허 수준이 기대보다 낮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실제로 인도에 진출한 한국 기업 92개사를 대상으로 KOTRA가 조사한 결과, 98.3%가 CEPA 적용의 어려움과 통관 지연 등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인도는 2021년 기준 경제규모가 세계 6대국에 속한다. 2025년에는 5위, 2030년에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가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인도 진출은 필수불가결해 보인다. 그러나 아직 그 시장 진입이 미미하다. 향후 세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인도의 시장을 샅샅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타트업 인도 진출 전략을 세워본다.

 

◇ Make in India, 제조업의 스마트팩토리 공략

현재 인도는 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도모 중이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제조업의 GDP 기여율을 25%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Make in India’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단계별 제조업 육성 정책을 통해 제조 시스템 강화를 실현하고 있다. 2020년에는 Make in India 2.0을 발표하며 자주 인도 정책을 통해 인도가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으로 우뚝 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주목할 점은 인도 정부가 중국산 부품·중간재·완성품 규제를 지속한다는 사실이다. 중국이 만든 애플리케이션도 금지하며, 여기에는 틱톡, 알리익스프레스 등도 포함된다. 하지만 이는 중국 외의 해외 국가에서 조달하겠다는 의지가 아니다. 인도 자체에서 제조 기반 확장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런 인도의 상황에서 우리나라 벤처·스타트업은 인도의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가속화되면서 제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대대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Make in India 정책에서 스마트팩토리를 포함한 제조업의 포괄적인 고도화를 위한 시도를 찾아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스마트팩토리 기술도 최고 수준에 올라서 경쟁력이 충분하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케츠에 따르면 미국, 독일, 일본, EU, 그리고 한국이 뒤를 잇는다.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다.

자료=KOTRA [사진=K글로벌타임스]
자료=KOTRA [디자인=K글로벌타임스]

 

◇ 인도 IT 떠오르는 새로운 먹거리...SaaS

‘인도’ 하면 떠오르는 기술 산업이 있다. 바로 IT 서비스 산업이다. 1991년 경제 개방 이후 서구국가들의 IT 관련 서비스를 아웃소싱하면서 인도의 IT 서비스 산업이 발전했다. 향후 5년간 연평균 7.18%의 고성장이 기대되는 인도의 유망 산업이다. 또한 인도의 IT 서비스 산업은 인력 공급 측면에서 세계 1위의 시장이며, 세계 IT 서비스 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거점이다. 최근 인도 IT 서비스도 SaaS 분야로 확대되었는데, 현지에서는 SaaS의 경쟁력이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무료로 S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격적인 기업도 있었다.

우선 인도의 IT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스타트업보다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협력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인도의 강점은 IT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인력이 풍부하다는 점이다. 물론 모두가 고급 인력은 아니다. 이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다음은 인도에 법인이나 지사를 설립한 벤처·스타트업이라면 숙지하고 있어야 할 인도정부의 주요 조세감면 인센티브다.

[사진=KOTRA]
[사진=KOTRA]

우리나라는 문재인 전대통령이 인도의 모디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2030년까지 한-인도 간 교역을 200억 달러에서 5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2018년 양국 간 교역액 215억 달러, 2019년 207억 달러였으나, 코로나19로 이는 잠시 주춤했다. 그러나 2021년 수출액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향후 교역액이 크게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

 

◇ 단독보단 M&A 등 협력 전략으로

인도는 13.9억 명의 인구를 바탕으로 하는 거대 시장이다. 스타트업에 우호적인 생태계를 구축했으며, 친기업 환경 조성을 위해 인도정부가 앞장서고 있는 실정이다. 인도의 이커머스 시장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통신 인프라 대비 물류 및 유통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약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인도정부와 다양한 정책을 연계하며 국내 기업의 현지 진출을 고도화하고 있다. CEPA 양허, 아세안 FTA 등을 활용해 전략적으로 인도시장에 진출해야 한다. 특히 스타트업 생태계가 잘 구성된 만큼, 우리나라 스타트업도 그 생태계 속으로 들어가 활발히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 이커머스 시장과 물류 및 유통 인프라를 공략한다면 인도시장에서도 승기를 잡을 수 있다.

제조업의 경우 아직 인도에서 미비한 스마트팩토리 시장을 선점할 수 있으며, IT 서비스업은 풍부하고 저렴한 현지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다. 인도에 단독으로 진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보다는 M&A, JV 설립 등으로 진출방식을 다각화하는 것도 좋다. 또한 중국과의 마찰로 수입 규제가 있는 만큼, 이 부분은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나아가 신재생에너지에도 인도정부의 관심이 높다는 점을 주목하자. 인도는 2021년 재생가능 에너지 국가매력지수에서 3위를 차지했으며,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에너지 소비 국가다. 2022년 말까지 175GW 상당의 재생에너지 용량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500GW로 확장한다. 이러한 인도정부의 공격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힘입어 ESG 시장을 공략할 만하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교육이 인도에서도 필수적인 요소로 각인되고 있는 추세로, IT 기반의 에듀테크 산업도 기대해볼 만하다. 인도 투자사인 Blume Ventures에 따르면 인도 에듀테크 시장은 2020년 7억 50만 달러에서 2025년 4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교육부 역시 2030년까지 교육예산지출을 GDP의 약 6%로 늘림으로써 에듀테크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을 내다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K-에듀테크 스타트업에 인도는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바이오 플라스틱, 헬스테크 등의 산업이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다. 인도의 소비심리가 빠르게 회복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향후 경제규모 전 세계 3위를 차지할 인도에서의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발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K글로벌타임스 강초희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