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 코로나로 경기 하강세 전환 발표
- 유통업계 타격 심각에도 2월 일본 전국 편의점 매출은 상승세

코트라 일본 후쿠오카무역관에 따르면, 니시무라 경제재생담당상은 일본 정부의 3월 내각회의 월례경제보고 이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일본 경기 추세가 완만한 회복 국면에서 하강 국면으로 전환했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가 경기 추세를 언급함에 있어 ‘경기 회복’ 대신 ‘경기 하강’이라는 키워드를 언급한 것은 7년 8개월 만이다. 니시무라 경제재생담당상은 국내외를 불문하고 가계나 기업의 활동이 현저하게 제약되고 있어 심각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기업의 활동과 가계의 소비도 얼어붙고 있어 유통업계가 받는 타격도 심화, 장기화되고 있다. 일본 백화점 협회에 의하면, 올해 2월 전국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감소, 면세 분야 매출은 65%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3월 4대 대형 백화점(이세탄미츠코시홀딩스, 제이프론트리테일링, 타카시마야, 에이치투홀딩스)의 전체 매출 전년대비 40% 감소, 면세 분야 매출은 90%가 감소했다.

□ 선방하는 일본 편의점 업계

일본 프랜차이즈 체인협회에 따르면, 전국 주요 편의점의 2월 매출액은 기존 점포기준으로 8026억8200만 엔으로 전년대비 2.6% 상승했으며, 2018년 9월 담뱃세 증세(3.5%) 이후 1년 5개월만에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체 편의점 매출은 2.6% 증가했으나 내점객 수는 1월 12억9000명, 2월 12억6000명으로 전년대비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이에 따라 1인당 매출액을 나타내는 내점객 객단가가 2020년 1월 648.6엔, 2월 638.5엔으로 전년대비 1.2%, 0.2% 상승했다. 코로나 확산에 의한 일본 내 외출자제 분위기로 경기가 악화되는 상황에 비춰봤을 때, 편의점에 대한 소비자의 발길이 꾸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료: 코트라 일본 후쿠오카무역관

이처럼 인간의 물리적 경제활동이 제한되고 경기가 악화된 상황에서 유독 편의점으로 가는 소비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편의점의 접근성, 취급 품목의 다양성, 소비자 대상 생활지원 마케팅 등에 있다. 

또한, 일반 드러그스토어나 슈퍼마켓과 비교해 점포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도심지나 주택지를 불문하고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어 소비자는 물건을 사기 위해 멀리 오랜시간 외출할 필요가 줄어든다. 그리고, 마스크, 손 소독제 등 위생용품부터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냉동식품, 외식 수요 대체 식품, 건강식품 등을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소비자의 구매 수요가 높은 소비재를 상시 진열하고 있다. 일본 프랜차이즈체인협회에 따르면, 냉장식품 및 가공식품의 매출 성장률은 각각 3.6%, 3.8%이며 비식품 분야의 매출 성장률도 3.6% 증가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학생과 직장인의 재택학습 및 재택근무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생활지원을 위한 다양한 판촉 행사와 사회공헌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다. 훼미리마트와 로손은 전국 초·중·고 휴교에 따른 급식 대체 식품 할인 및 무료 지원, 학부모와 학생 대상 무료 학습소스 지원 등 다양한 판촉·CSR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자료: 편의점 3사 홈페이지 및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 편의점 3사 홈페이지 및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자료 종합

□ 의외의 히트 상품

토요케자이뉴스에 따르면, 편의점에서 매출이 늘어난 품목은 이미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마스크 등의 위생용품 외에도 완구류, 냉동식품, 편의점 반찬, 주류 등이 있었다. 2월 24일~3월 1일 로손의 트럼프 카드, 보드게임, 비눗방울 등 완구 매출이 전년대비 35% 상승하였다. 이에 대해 로손은 외출 자제 요청 및 초·중·고 휴교의 영향으로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2월 24일~3월 1일 편의점 주류와 PB 반찬 상품, 냉동식품의 매출이 전년대비 30% 정도 증가했다. 이는 외식을 삼가는 사람이 늘면서 가정 내 식사 및 음주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시사점

일본 내 코로나가 확산돼 가는 상황에서 편의점은 뛰어난 접근성과 수요가 높은 제품을 다양하게 준비함으로써 소비자의 새로운 생활 플랫폼이자 사회 인프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속에서도 편의점, 드럭스토어는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대형 백화점이나 일반 도소매업종 등은 당분간 매출의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코로나 사태 종식 후 유통업계의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일본 시장진출을 고려하는 한국 제품 공급 업체들도 향후 코로나가 가져올 유통망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