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사업에 속도 내는 대한민국, 11개국 12개 도시에서 프로젝트 진행 중
미래형 사업으로 꼽히는 스마트시티 사업, 해외 각국에서도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
대한민국 8대 혁신 성장 산업, 스마트시티가 대한민국 수출을 대표하려면?

스마트시티 (사진 = 픽사베이)<br>
스마트시티 (사진 = 픽사베이)

전 세계는 스마트시티에 의한 신도시 건설, 구도심 개조 등에 관심이 많고 많은 프로젝트가 이미 착수했거나 계획을 세우는 모양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일상화가 정착하면서 스마트시티가 지구촌 미래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ICT·빅데이터·AI·로봇 지능형 교통시스템 등 모든 기술적 역량이 총집결된 미래신도시 건설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새로운 수출 주력 분야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많은 이들이 뜻을 모으고 있다.

▶ 대한민국 스마트시티는 개발형·수립형·해외 실증형 세 가지로 진행 중

대한민국의 본격적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2019년 2월 시작됐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가 머리를 맞대고 미래형 스마트시티 즉 한국형 스마트시티(K-시티) 선도모델인 국가시범도시 시행계획안을 내놓았다.

현재 세종 스마트도시와 부산 에코델타로 대표되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을 비롯해 도시재생과 연계한 스마트시티 스마트솔루션 구축 사업인 ‘스마트챌린지’,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정보망을 연계해 지능형 도시 운영기반을 조성하는 ‘통합플랫폼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이 수행되고 있다. 

세종 스마트시티(자료 =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백서)

 또한 대한민국은 국토교통부와 한국 해외 인프라 도시개발지원공사와 국토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K-City Network’ 사업을 작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수출하기 위해 이를 희망하는 해외 정부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사업발굴을 개발하고, 기술을 전수하는 등 패키지로 지원하는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이다.

현재 K-시티 네트워크 국제 공모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스마트 도시 개발형은 해외도시개발 사업에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한 마스터플랜 타당성 조사를 지원하는 사업이고, 스마트 솔루션 계획 수립형은 해당 도시의 교통 환경 에너지 등 주요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 사업이다.

2020년부터 국제 공모들 시작해 지난해 23개국에서 80건을 신청받아 11개국12개 도시와 협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말레이시아(코타키나발루), 미얀마(달라), 러시아(연해주), 베트남(메콩델타), 인도네시아(신수도), 페루(쿠스코), 태국(콘캔), 터키(가지안텝, 앙카라) 등이 있다.

2021년도에는 기존 2가지 유형에 스마트 솔루션 해외 실증형 사업이 추가됐다. 스마트시티 관련 우리 기업의 해외 실증(PoC)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올해 신설된 사업이다. 2021년도 K-City Network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은 2월 18일부터 4월 20일까지 공모를 통해 진행했으며, 코로나19 상황에도 39개국에서 총 111건이 접수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6개국, 31건이 증가한 수치다. 공모 이후 신남방·신북방·유럽에서 11건의 사업이 선정 됐다.

21년&nbsp;「K-City Network」&nbsp;국제공모 사업 선정결과(자료 = 국토교통부)<br>
21년 「K-City Network」 국제공모 사업 선정결과(자료 = 국토교통부)

구체적인 사업별로 살펴보면 도시개발형 계획수립 사업은 필리핀 클락 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기본계획, 인도네시아 신수도 공무원 주택 시범단지 타당성 조사,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혁신단지 및 스마트시티 개발 기본계획, 케냐 나이로비 중앙역 스마트시티 개발계획 수립이다.

솔루션 계획수립 사업은 베트남 하이퐁 교통관리 체계 기본계획, 볼리비아 산타크루즈 폐기물-에너지 연계 솔루션 계획수립, 아제르바이잔 바쿠 광역인터넷망(loRa) 솔루션 계획수립, 불가리아 카잔루크 통합감시제어센터 기본계획 타당성 조사다.

솔루션 해외실증 사업은 터키 가지안텝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실증(삼성SDS), 미국 볼티모어 페기물 관리 솔루션 실증(이큐브랩), 스페인 산탄데르시 스마트 주차 서비스 실증(디토닉) 사업이 선정됐다. 사업의 리스트만 살펴봐도 굉장히 광범위하고 화려하다.

▶ 인도네시아, 베트남, 터키 등 지금 세계는 스마트시티 열풍

현재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지 않고 있는 나라가 없다고 할 정도로 해외 각국에서도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추진 상황을 살펴보면 태국은 범정부 차원의 ‘스마트시티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2036년까지 아세안 스마트시티 선도국가 도약하자는 장기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2036년까지 세계 10대 스마트시티로 발돋움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다. 현재 2020~2022년까지 77개 스마트시티 조성 및 약 100개 지역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Movement Towards 100 Smart City’ 정책을 수립하고 정보통신부 주도로 주요 도시에서 국영기업과 민간업체들의 기술 협력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수도를 자카르타에서 동칼리만탄으로 이전하고 있는데, 들어가는 예산이 40조다. 도시 기능의 많은 부분을 스마트화할 계획이어서 우리 기업에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총리령 ’2030년 전망, 2025년까지의 베트남 스마트시티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대도시 및 관광지부터 순차적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특히 호찌민 시내에 새로운 신도시인 ‘투득(Thu Duc)’ 건설에 사할을 걸고 있다.

2021년 3월 1일 스마트도시 설립 1단계 구축 작업을 시행하고, 2040까지 총 3단계가 완성되면 150만 명이 거주할 신도시가 생기는 셈이다. 호찌민 지역의 1/3을 차지하는 투득 신도시의 등장으로 베트남은 GDP 7% 점유를 기대하고 있다.

터키는 정부 차원의 ‘2020~2023 국가 스마트시티 전략 및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인구 50,000명 이상의 모든 도시에서 스마트시티 로드맵 구상해 추진 중이다. 터키의 이러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따라 미국·영국·네델란드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정책자금을 지원하기로 나섰다.

앙카라 스마트 파크 중앙 통제실 내부 (사진 = 터키&nbsp;환경도시부)<br>
앙카라 스마트 파크 중앙 통제실 내부 (사진 = 터키 환경도시부)

특히 터키는 신재생, 스마트 모빌리티, 재난방지에 중점을 두고 스마트시티 건설을 계획 중인데, 지진의 피해가 큰 상황이어서 IT 기술을 활용한 자연재해 대처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많다.

이외에도 폴란드, 체코, 사우디, 핀란드, 인도 등도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서 스마트시티 건설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발표했다.

▶ 5G를 비롯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이 스마트시티 세상을 앞당겨

종래에도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계획된 ‘U-City’가 있었다. 유비쿼터스 도시기술을 이용한 컴퓨팅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도시를 의미하는데, 속도와 용량의 한계로 대규모 도시 시설에 적용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동탄신도시 유시티 조감도 (사진 = 경기도청)
동탄신도시 유시티 조감도 (사진 = 경기도청)

그러나 최근 보편화된 5G 기술은 종래의 4G LTE보다 속도가 50배, 용량이 1,000배 증가했고, 클라우드 기술과 AI 등으로 모든 기계와 데이터가 상호 접속하는 상태여서 스마트시티 건설이 탄력을 받고 있다. 지역의 구분 없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그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네비건트리서치(Navigant Research)는 2016년 368억 달러 수준인 스마트시티 세계 시장 규모가 연평균 10.3% 성장해 2025년 88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기관별로 전망치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매우 빠른 성장을 보일 것이라는 점, 아시아지역이 이러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인다.

▶ 각 국가와 도시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요구 조건이 다르다

현재 스마트시티는 신도시 건설을 위주로 해 처음부터 새롭게 도시를 건설하는 모델과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스마트 기술을 이용해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나뉜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스마트시티는 에너지·환경·교통 문제 등 도시과밀화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측면이 강하다. 더불어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및 공공서비스, 고령화에 따라 수요가 증대되는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편리하게 제공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솔루션의 측면도 강하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에서의 스마트시티는 급격히 증가하는 도시인구를 수용하는 동시에 경제활성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신도시 성격이 많아 교통· 통신·에너지 등 기본적인 인프라의 구축이 함께 이뤄져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선진국보다 투자 규모가 크다.

▶ 스마트시티를 대표적인 수출상품으로?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 통합 추진단의 필요성

현재 초기 단계지만 해외 스마트시티 관련 기관만 열 군데 가까이 되는 실정이다. 국토부, 국토부 산하 한국 해외 인프라 도시개발지원공사, 국토과학기술진흥원, 주택공사, 과학기술 정통부, KOICA, KOTRA 등이 각각 나눠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민간 기업은 단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세계적인 업체는 아직 없다. 해외 스마트시티에 대한 눈높이가 다르고 추진 사업도 광범위해 민간이 이를 어떻게 수용해 조건을 맞추느냐가 관건이다.

스마트 시티 육성사업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부터 급물살을 탔다. 지난해 10월 22일 인천 송도신도시 스마트 시티 통합운영센터를 찾은 문 대통령이 관제실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 청와대)<br>
스마트 시티 육성사업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부터 급물살을 탔다. 지난해 10월 22일 인천 송도신도시 스마트 시티 통합운영센터를 찾은 문 대통령이 관제실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 청와대)

앞으로 스마트 기술의 적용 분야를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고 시장을 개척할 것인지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농업·스마트 환경·스마트 헬스케어·스마트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떤 강점으로 시장을 개척할 것인지 전략이 있어야 한다. 현재 전체적인 해외 수요의 1순위는 인공지능에 의한 스마트 교통시스템으로 파악된다. 또한 향후 스마트시티를 대표적인 수출상품으로 키우려면 국제표준화 분야도 선점해야 한다.

우리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공공기관과 민간이 협력해 전 세계 스마트시티 사업의 우위를 다져야 할 때다. 정부가 8대 혁신 성장 산업으로 키우려고 노력 중이고, 해외 수요도 무궁무진한 스마트시티 사업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