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달러/엔 20년 만 고점에도 국내 수출 타격 크지 않아
韓–日 수출 차별화와 한국제품 경쟁력 제고가 주된 원인

일본 엔화(사진 = 콘텐츠뱅크)
일본 엔화(사진 = 콘텐츠뱅크)

국제 외환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일본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일본과 수출 경쟁 관계에 있는 우리나라의 수출 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과거와 달라진 한일 양국의 수출 구조와 한국제품의 경쟁력 제고로 인해 초엔저로 인한 걱정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6일 발표한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에서 양국의 수출경합도와 실증분석을 통해 엔화약세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엔저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다만 엔저의 장기화에 대비해 수출 기업들은 품목 차별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지속해야 하며 정부도 환율 안정을 위한 노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제 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지난달 말 130엔을 상회하면서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이 금리 인상에 시동을 건 반면, 일본은 아직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엔화 약세 압력이 거세진 영향이다. 엔/원 환율은 4월 기준으로 100엔당 977원선에 형성돼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7.7%가 하락했다. 그만큼 엔화 가치가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는 올라갔다는 의미로 이는 기존 구도대로라면 한국의 수출 기업들에게는 크게 불리한 여건이 된다.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 엔화 약세가 韓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크지 않아

하지만 최근 들어 상황이 많이 바뀌면서 이 같은 엔저의 영향도 과거와 달라졌다는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수출 시장에서 한일 양국의 경합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완화되는 추세다. 전품목을 기준으로 한 수출경합도는 2015년의 0.487에서 2021년 0.458로 낮아졌다. 품목별로는 가전제품(-0.068), 자동차 및 부품(-0.051), 전기전자제품(-0.051) 등에서 수출경합도 하락폭이 컸다. 미국 시장에서는 주요품목 10개에서 모두 수출경합도가 감소했고 중국 시장에서는 최근 6년 사이 전체 품목의 수출경합도가 0.075 떨어졌다.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또한 실증분석으로도 달러/엔 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수출단가를 세계수출단가로 나눈 상대가격과 세계산업생산지수를 바탕으로 한 세계수요라는 두 변수가 한국의 대세계 수출물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달러/엔 환율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 결과 상대가격이 1% 상승할 때 수출물량은 0.29% 감소했고 세계수요가 1% 상승할 때 수출물량이 1.56%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달러/엔 변수의 경우 부호는 음(-)으로 도출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값을 가졌다.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여기에 한국 제품들의 경쟁력이 높아진 점도 하나의 이유로 언급됐다. 세계시장에서 수출품 경쟁력을 측정하는 현시비교우위지수(RCA) 분석 결과 2015년에서 2021년 사이 대부분의 품목에서 한국의 RCA 상승치가 일본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전과 전기전자제품, 반도체, 자동차 등의 품목에서는 RCA가 하락했지만 낙폭이 일본보다는 작았다.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출처 : 무역협회 보고서

연구원은 그러면서도 “일본과 비교해 수출경쟁력이 하락한 품목에 대해서는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주요 시장별로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가 상승하면서 수출경쟁력이 일본 대비 하락한 품목은 엔저가 장기화되는 경우 영향이 클 수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출기업들은 엔저 장기화에 대비해 품목 차별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일본보다 우위에 있는 FTA를 활용해 가격경쟁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정부는 환율안정을 위해 주요국과의 통화스왑을 확대하고 환율상승으로 원자재 수입부담이 큰 중소기업을 위한 운전자금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