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보고서, 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케냐 진출
케냐, 정부∙국제기구 등 경제활동 활발…韓 기업과 정부도 관심 확대해야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 모습, 사진 : 픽사베이)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 모습, 사진 : 픽사베이)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 케냐에 글로벌 기업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중산층 증가로 가팔라진 경제 성장과 저렴한 ICT 비용 등에 케냐에 투자를 늘리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이종현 책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케냐를 활용하고 있다.

인구가 약 5620만 명인 케냐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3위 수준 GDP(988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동아프리카 대표 경제국이다. 여기에 모바일 가입자가 100명 기준으로 114명에 달하고, 94% 이상이 3G 모바일로 커버가 가능하는 등 아프리카 내에서 인터넷 활용 환경이 매우 우수한 편이다. 아직 국가경쟁력과 부패지수 등의 지표에서는 세계 80-120위권이지만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는 61위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케냐의 주요 경제지표, 출처 : NIPA 보고서)
(케냐의 주요 경제지표, 출처 : NIPA 보고서)

보고서는 케냐가 정부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등의 경제활동이 활발하며 임팩트 스타트업도 활발한 특징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모바일 뱅킹 솔루션인 M-Pesa 핀테크 스타트업을 비롯해 푸드와 교통, 에너지 등의 분야 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케냐는 정부 주도하에 수도인 나이로비 외곽에 2013년 `Konza Technopolis’라는 산학연구단지를 구축하고 `아프리카의 실리콘밸리’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수출입은행이 케냐 정부와 금융협력 양해각서를 2016년에 체결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케냐과학기술원 건립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빅3 창업생태계…구글∙MS 적극 투자

스타트업 생태계 전문기관인 Startup Genome에 따르면, 케냐의 투자 지표는 높은 편이지만 퍼포먼스와 시장, 역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냐는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빅3 창업생태계로 불린다.

여기에는 중산층 증가로 인해 경제 성장세가 빠르다는 점과 저렴한 ICT 비용 및 높은 모바일 활용률 등의 인프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여건들을 이유로 글로벌 기업들은 케냐 시장의 진출을 확대하는 추세다. 특히 아프리카에서 외국인들이 비즈니스하기 좋은 국가로 평가받고 있고 기후와 날씨가 좋다는 점도 외국인들이 거주를 선호하는 이유다.

대표적인 업체가 구글이다. 구글은 엔지니어링과 디자인 등을 적합하게 연구개발하는 `Product Development Centre’를 아프리카 최초로 케냐에 설립했다. 지난해 10월에는 CEO인 순다르 피차이가 아프리카에 1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고, 이 밖에도 Google for Startups 프로그램과 중소기업 대상 저금리 대출 등 스타트업에 대해 적극적인 육성 정책을 펴고 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는 2019년부터 나이로비에 아프리카 개발 샌터를 구축해 1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아마존은 AWS Local Zone을 케냐에 런칭할 예정이다.

다만 이런 가운데 아직 한국 기업들은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 대해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글로벌성장전략팀 이종현 책임연구원은 “최근 케냐는 아프리카 내의 혁신생태계를 선도하는 국가로 성장하고 있고 글로벌 기업에서도 케냐에 대한 투자가 확대중”이라면서 “아프리카는 2050년 인구가 전 세계의 25%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 세계에서 가장 젊고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미국, 중국, 일본 등의 글로벌 기업은 아프리카 스타트업 생태계에 투자를 확대하고 연구개발을 집중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들은 아프리카 시장을 아직 주요 시장으로 보고 있지 않다”면서 “국내 투자자나 기업은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관심 확대가 필요하며 정부에서도 이와 관련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