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수거해 새로운 가치창출하는 사업모델 구축
국내 최초 환경 노벨상 '어스샷' 후보 등극
글로벌 진출 위해 자원순환형 화학기업 도약 준비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자리매김했다. 기업들의 가치를 높여줄 주요 경영지표로 자리잡은 ESG, 스타트업도 예외는 아니다. ESG라는 키워드를 사업모델로 만들어내면서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기도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커지면서 ESG에 대한 관심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스타트업 in ESG] 시리즈를 통해 사업모델에 ESG를 접목시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국내 스타트업을 집중 조명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in ESG> 시리즈

① 수퍼빈, 폐기물 재활용으로 글로벌 공략

② 엘디카본, 검은 타이어로 그린 친환경 구현

③ 넷스파, 버려진 어망을 나일론으로 변신시키다

④ 리하베스트, 음식 부산물의 변신을 알리다

⑤ 어반랩스, '커피박 대체육'으로 대체단백질 시장 도전

⑥ 제이엠웨이브, 내연기관의 그린화 앞장

⑦ 크로커스, AI 전력관리 시장 독보적 플레이어 자리매김

⑧ 루트에너지, 재생에너지 거래 통한 선순환 꿈꾸다

⑨ "폐이불을 재생섬유로"…제클린, 업사이클의 새 패러다임 제시

⑩ 사이버범죄 예방하는 '스마트 보안관' 에스투더블유

⑪ 이너보틀, ‘병속의 병’으로 지구 건강을 지키다

⑫ 스타스테크, 불가사리에 새생명을 입히다

⑬ 라온로드, 스마트교통체계 통한 사회적 비용 감소 실천

⑭ 이노버스, 자원 재순환 통한 그린스마트시티 구축 앞장

⑮ 중소중견기업 탄소배출 관리 도우미 '후시파트너스'

수퍼빈 김정빈 대표(왼쪽)가 대한상공회의소 ESG TV 인터뷰 중 자사 폐기물 수거 로봇 네프론과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대한상공회의소]
수퍼빈 김정빈 대표(왼쪽)가 대한상공회의소 ESG TV 인터뷰 중 자사 폐기물 수거 로봇 네프론과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대한상공회의소]

[K글로벌타임스] 수퍼빈(대표 김정빈)은 버리는 폐트병과 캔을 모아오면 현금으로 돌려주는 사업모델로 유명세를 얻은 스타트업이다. 플라스틱 병과 캔 등 태워지거나 매립되는 자원들을 모아 화학 기업들에 판매하는 플레이크로 재가공하는 ESG 기업으로도 업계의 주목을 받고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자원을 분류하고 재활용하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수퍼빈에 세계의 눈이 쏠리고 있다.

 

폐기물 현금화 서비스로 혁신

폐기물을 수거해가는 수퍼빈 임직원들의 모습.[사진=수퍼빈]
폐기물을 수거해가는 수퍼빈 임직원들의 모습.[사진=수퍼빈]

지난 2015년 설립된 수퍼빈은 재활용 부가가치가 높은 생활폐기물을 AI와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해 선별하고 이를 재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다.

수퍼빈은 전국에 스마트 쓰레기통 '네프론'을 보급해 실생활에서 나오는 플라스틱이나 캔을 수거하고 이를 돈으로 돌려주는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다.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기계에 넣으면 AI가 자동으로 이를 판독해 분류·수거하고, 재활용 쓰레기 하나를 넣을 때마다 10포인트를 돌려주는 방식이다. 잘못 넣거나 재활용 불가품을 넣으면 거절 이유가 안내되며 다시 반환된다.

가정에서 무심코 버리는 폐기물을 현금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서비스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큰 관심을 끌기 충분했다.

수퍼빈의 폐기물 수거로봇 '네프론'.[사진=수퍼빈]
수퍼빈의 폐기물 수거로봇 '네프론'.[사진=수퍼빈]

소비자들은 이렇게 모은 포인트를 수퍼빈이 마련한 쓰레기마트, 스레기카페 등에서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거나 음료를 사서 마실수 있고, 2000원이 넘으면 현금화할 수 있다. 작년 12월까지 네프론이 수거한 페트병은 약 1억2509만개, 알루미늄 캔 5684만개에 달한다. 누적 환전 금액은 12억원 정도다.

네프론은 지난해 말 기준 세종시와 충북을 제외한 전국 지자체와 기업에 총 688대가 보급될 정도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이나 역 등 노출이 잘되는 곳을 중심으로 설치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최대 IT기업으로 불리는 네이버 역시 네프론을 사용하고 있다.

김정빈 수퍼빈 대표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행위를 넘어 순환경제 구축에 초점을 두는 사업모델이다"라며 "순환경제 통해 폐기물을 올바르게 선별하고 나아가 가공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폐기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다

수퍼빈의 자원순환 구조도.[사진=수퍼빈]
수퍼빈의 자원순환 구조도.[사진=수퍼빈]

수퍼빈은 폐기물을 단순히 수거하는 것을 넘어 이를 재활용하는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친환경이 핵심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기업들이 ESG에 주목하고 있는 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개발해 냈다.

수퍼빈은 네프론에 모아둔 폐기물은 압축 과정을 거쳐 공장으로 옮겨져 잘게 부서진 '플레이크(페트병을 잘게 파쇄한 것)'로 다시 만들기 위한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최근 플레이크 소재화 공장 '아이엠팩토리'를 준공하고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했다. 

아이엠팩토리는 물리적 재활용 공정을 통해 탄소 배출 및 폐수 발생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공장으로 설계됐다.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기술을 소재 가공 공장에 접목했고, 순환자원 선별에 쓰이는 인공지능 기술과 센서, HMI 같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됐다. 세계 최초로 폐기물 가공품에 품질과 규격을 명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플레이크는 국내외 화학 기업들에 판매되며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폐기물을 만들어낸 생산자들에게 다시 되파는 구조를 만듦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사업모델에 대기업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다. 2015년 미래과학기술지주를 시작으로 휴맥스, GS칼텍스, 롯데케미칼 등 국내 석유화학 대기업들이 후원을 자처했다.

 

혁신적인 순환경제 모델에 쏠린 세계의 시선

경기도 화성시에 준공한 수퍼빈의 '아이엠팩토리' 조감도.[사진=수퍼빈]
경기도 화성시에 준공한 수퍼빈의 '아이엠팩토리' 조감도.[사진=수퍼빈]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퍼빈의 사업모델 역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6월 영국 왕실에서 창설한 환경 노벨상으로 불리는 '어스샷' 최종 후보에도 오르는 쾌거를 이루며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이후 세계적인 자선단체 한국구세군과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는 등 행보를 다각화 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투자 혹한기임에도 불구하고 180억원 규모 시리즈 B 브릿지 투자 유치에도 성공하며 성장가능성도 인정받았다. 이를 통해 누적 투자 유치액 410억, 기업가치 1830억원으로 평가받게 됐다.

수퍼빈은 투자액과 사업모델 고도화 등을 토대로 해외진출까지 이뤄내겠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 내실을 다진 후 폐기물 순환경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는 북미와 유럽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아직 미개척 시장인 동남아시아 등지에도 진출해 시장을 리딩하는 기업으로 포지셔닝 하겠다는 포부다.

구세군과 수퍼빈이 업무협약을 맺은 모습.[사진=구세군]
구세군과 수퍼빈이 업무협약을 맺은 모습.[사진=구세군]

전북 순창에 짓고 있는 두번째 아이엠팩토리에서 플라스틱 플레이크에서 한단계 나아간 상품인 펠릿을 직접 제조하겠다는 것이 수퍼빈 김정빈 대표의 구상이다. 펠릿으로는 플라스틱 병을 만들 수도, 섬유를 만들 수도 있는 더욱 완성된 소재다.

이 때문에 이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 해외 화학기업들과 직접 거래하겠다는 것이다. 펠릿까지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수퍼빈은 자원순환형 화학기업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김정빈 대표는 "국내시장을 더욱 공고히함과 동시에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매출 확대를 노릴 것"이라며 "해외 시장상황에 따른 전략을 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K글로벌타임스 김동현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